일기

좋아하는 글들 +

휴초 2019. 10. 15. 15:34

from the movie <Trumbo>

 

20.

재미있는 이야기를 위한 7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불완전한 주인공이

 2. 특별한 계기로(특별한 힘으로)

 3. 목적(직책)을 얻고

 4. 도움을 주는 조력자를 만나

 5. 어떠한 동기(혹은 도움이 되는 도구)를 얻고

 6. 적(혹은 고난)에 맞서 싸우게 되고

 7. 승리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21.

기아를 보고 자신의 배부름을 느끼고, 장애인을 보고 자신의 건강함을 느끼고 감사하라는, 이런 교육이 현대 한국인의 차별적 사상의 토대를 이룬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기보다 '너보다 나은 나'를 기뻐하는 변태양성교육.

 

22.

신경써주는 부모 절망편: 별 같잖은 사생활을 캐물으며 스트레스 주고는 꼴에 챙겨줬다면서 그 대가를 원함. 자식이 자랑거리가 되지 못하면 '우린 믿었는데'이러면서 망한 주식 취급하고 이후에도 티끌만한 희망을 못 버려 계속 닦달함.

자식=전에 구해준 까치

 

23. 

글쓰기에서 최소화해야 하는 부사

너무, 우선, 대개, 다소, 어김없이, 틀림없이, 가까스로, 완벽하게, 그러니까, 넌지시, 무심코, 시종일관, 부디, 거의, 때로, 중요하게, 모든, 정말, 매우, 철저하게, 굉장히, 놀랍게도, 굳이, 엄청

 

24.

일단 단편부터 시작해라

기승전결이 있는 큰 틀 정도는 짜고 시작해라

죽이되는 밥이되든 완결을 내라

안 써지면 보고 싶은 장면부터 써라

막히면 대사치기 하고 나중에 정리해라

문장을 만들기 전에 머릿속으로 쓸 부분을 상상을 해라

내 글은 원래 나한테만 재밌다

 

25. 

두려움을 버려라/ 열정을 가져라/ 분석하고 평가하라/ 독립적 사고를 하라/ 현실에 만족하라/ 환하게 웃어라/ 무언가에 푹 빠져라/ 허리를 꼿꼿이 펴라/ 한 순간도 자신을 의심하지 마라/ 부끄러움 없는 야심으로 밀고 나가라/ 능력을 발굴하고 약점을 무시하라/ 싫은 것은 당당히 'NO'라고 말하라

 

26.

이 모든걸 무작정 하려면 머리 아프고, 하고 싶은 것도 하기 싫어질 때가 있어. 이럴때는 그저 계획이라는 걸 조금씩. 하루에 조금씩 실천하면서 나아가면 되는 거야. 조금씩 하다보면 분명히 종착점에는 가거든.

 

27.

순간적으로 창의력을 높이는 방법

 1. 걸어다니기

 2. 담배피우기

 3. 목욕하기

 4. 누워서 아무것도 안하기

 5. 멍 때리기

 

28.

가수 요조씨가 쓰신 글.

 

29.

https://mnews.joins.com/amparticle/23622265?__twitter_impression=true

 

당장 쓸모없는 공부라도 '정신 척추의 기립근' 같은 맛...나는 왜 배울까

“나는 왜 공부를 하는가? 그저 살기만 할 수가 없어서.”

news.joins.com